맨위로가기

이상룡 (1858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상룡은 1858년에 태어나 1932년에 사망한 독립운동가이다. 경상북도 안동의 유림 명문가에서 태어났으며, 의병 운동에 참여하다가 1907년부터 교육을 통한 애국 계몽 운동으로 전환했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이후 가족과 함께 서간도로 망명하여 독립운동 기구인 경학사와 신흥강습소 설립에 참여했다. 이후 임시 정부의 국무령을 역임했으나 사임하고 만주로 돌아가 독립운동 단체 통합에 힘쓰다 사망했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고, 대구 달성공원에 기념비가 세워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민단 - 김동삼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김동삼은 협동학교 설립으로 계몽운동을 전개하고, 서간도 망명 후 신흥무관학교 설립에 참여, 서로군정서와 정의부 참모장 등을 역임하며 무장 독립운동을 이끌었으며, 1931년 체포 후 복역 중 순국하여 건국훈장이 추서되었다.
  • 경학사 - 이동녕
    이동녕은 대한제국 시기 개화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석으로, 독립협회, 신민회, 서전의숙, 신흥무관학교, 《대동신문》, 한국독립당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국권 회복과 독립 운동에 헌신하며 임시정부를 이끌었다.
  • 경학사 - 이시영 (1868년)
    이시영은 조선 후기 관료 출신 독립운동가로, 을사늑약 후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임시정부 요직을 역임하고 광복 후 초대 부통령을 지냈으나 이승만 정권에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며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 서로군정서 - 김동삼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김동삼은 협동학교 설립으로 계몽운동을 전개하고, 서간도 망명 후 신흥무관학교 설립에 참여, 서로군정서와 정의부 참모장 등을 역임하며 무장 독립운동을 이끌었으며, 1931년 체포 후 복역 중 순국하여 건국훈장이 추서되었다.
  • 서로군정서 - 남자현
    남자현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만주에서 군자금 모집, 독립운동가 지원, 여성 계몽 운동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만주 지역 독립운동의 대모'로 불렸고, 무장 독립운동과 사이토 마코토 총독 암살 계획 등에 참여하다 체포 후 순국하여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이상룡 (1858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25년 임시정부 국무령 취임 때 기념 촬영한 사진
한글이상룡
로마자 표기I Sang-ryong
문화관광부 표기Yi Sangnyong
신상 정보
국적대한민국
출생일1858년 11월 24일
출생지조선 경상도 안동군
사망일1932년 6월 15일
사망지중화민국 만주 지방 지린성 지린
종교유교(성리학)
가족 관계
부모이승목(부)
자녀이준형(아들)
친인척권세연(외숙부)
김대락(처남)
이상동(동생)
이봉희(동생)
이형국(조카)
이운형(조카)
이광민(조카)
이광국(조카)
이병화(손자)
이승화(당숙)
경력
군사 경력예비역 대한독립군 준장
정당 경력前 한국독립당 고문 겸 대표최고위원
임시 정부 경력前 대한 임정 예하 서로군정서 총주석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
서로군정서 총주석 임기1919년 5월 31일 ~ 1922년 5월 20일
국무령 임기1925년 9월 24일 ~ 1926년 1월 20일
정치
소속 정당무소속
직책제3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
수상
훈장사후 196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2. 생애

이상룡은 경상북도 안동의 유림 명문가에서 태어났으며, 생가인 임청각보물 제182호로 지정된 고택이다.

김흥락의 제자로서 의병 운동에 참여했으나, 1907년경부터 애국 계몽 운동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협동학교 설립 및 대한협회 안동지부 창설, 시국 강연 등을 펼쳤다. 유인식, 김동삼 등은 이때부터의 동지이다.

1911년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어 대한협회가 해체되자, 신민회의 해외 독립 기지 설치 방침에 동조하여 일가를 이끌고 서간도로 망명했다.

서간도에서 독립운동을 위한 자치 기구인 경학사와 부속 교육 기관인 신흥강습소 설치에 참여했다. 경학사는 이듬해 부민단, 1919년 3·1 운동을 기점으로 한족회로 발전한다. 신흥강습소는 뒤에 신흥무관학교로 개칭되어 무장 독립 활동가들을 양성하는 기관이 되었다.

1921년 만주에 군사 거점인 군정부를 설립했지만,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설치되자 이를 지지하고, 군정부를 서로군정서로 개칭했다. 남만통일회를 개최하여 서간도 일대의 독립운동 단체를 합동하고, 통군부를 수립했다.

1925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통령 이승만이 탄핵으로 물러난 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초대 국무령으로 추대되었다. 그러나 내부 갈등으로 국무령을 사임하고 다시 만주로 돌아갔다. 정의부, 신민부, 참의부로 나뉘어 있던 독립운동 단체의 통합에 고심하던 중, 1932년 길림성에서 병사했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으며, 대구광역시 달성공원에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이상룡은 한사군이 한반도 밖에 있었으며, 요동반도에 위치했다는 신채호, 김교헌, 박은식과 공통의 많은 민족주의적 주장을 펼쳤다.

2. 1. 출생과 가문

고성본관으로 경상도 안동의 유림 명문가에서 3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생가인 임청각은 왕의 궁궐이 아닌 사대부 반가로는 가장 크게 지을 수 있는 99칸 짜리 집으로 유명하며, 보물 제182호로 지정되어 있는 고택이다.[7][8]

2. 2. 구국항일운동

김흥락의 제자로서 의병 운동에 참가했으나, 50세 무렵인 1907년경부터 교육의 역할을 중시하는 애국계몽운동으로 방향을 전환, 협동학교 설립 및 대한협회 안동지회 창설, 시국 강연 등을 벌였다. 유인식, 김동삼이 이때부터의 동지들이다.[9][10]

그러나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고 대한협회가 해체되자, 신민회의 해외 독립기지 설치 방침에 동조하여 1911년 일가족을 이끌고 서간도로 망명했다. 이상룡의 집안은 이회영, 허위의 가문과 함께 대표적인 항일운동 가문으로, 그를 포함해 두 동생 이상동, 이봉희, 아들 이준형과 손자 이병화, 조카 세 명이 독립유공자로 훈장을 수여받았다. 외숙은 의병장 권세연이며, 처가 역시 소문난 독립운동 가문이다.

이상룡은 이곳에서 독립 운동을 위한 자치기구인 경학사 조직과 부속 교육기관인 신흥강습소 설치에 참여했다. 경학사는 이듬해 부민단으로, 1919년 3·1 운동을 기점으로 한족회로 발전된다. 신흥강습소는 이후 신흥무관학교로 개칭하여 무장 항일 운동가들을 양성하는 기관이 되었다. 경학사신흥무관학교는 모두 만주 지역 항일운동의 효시라 할 수 있다.

만주에 군사 기구인 군정부를 설립했다가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설치되자 이를 지지하고 군정부를 서로군정서로 개칭했다. 서로군정서 책임자로서 1921년 남만통일회를 개최하여 서간도 일대의 독립 운동 단체를 통합하여 통군부를 수립했다.

2. 3. 임정 활동

1925년 이승만 대통령이 탄핵으로 물러난 후 박은식이 제2대 대통령에 선출되었으나 사퇴하자, 1925년 9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첫 국무령이자 제3대 수반으로 추대되었다. 그러나 갈등이 계속되고 내각을 조직할 만한 세력을 모으지 못하자 1926년 1월 임시정부 수반직을 사임하고 다시 만주로 돌아갔다.[11][12]

2. 4. 최후

1932년 지린에서 병사했다. 이후 정의부, 신민부, 참의부로 나뉘어 있던 무장독립운동 단체들의 통합을 위해 노력하였다.[1]

3. 사후

1990년 9월 하얼빈에 있던 유해를 대전 현충원으로 모셔왔고, 1996년 다시 서울 현충원 임시정부요인묘역에 안장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대구 달성공원에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4. 임청각

안동 임청각


임청각(臨清閣)은 일제강점기에 앞마당을 가로질러 중앙선 철로가 부설되면서, 부지 내에 있던 99채 중 약 30채가 철거되었다.[4][5] 이에 대해 항일파에 대한 보복이라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으며,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은 복선화에 따른 철로 이설과 함께 임청각 복원 사업에 착수할 것을 밝혔다.

이 설에 대해 경경선(1942년 개통)을 경북선경북 안동역(現 안동역, 1931년 개통) 경유로 하기 위해 불가피한 노선이었고, 하천 제방과 철로를 일체화하는 방재 목적도 있었으며, 철로 부설 시 임청각을 포함한 주변 민가의 보존에 배려했던 점, 시기적으로 독립운동이 사실상 와해되었던 점 등의 관점에서, 항일파에 대한 보복 목적이라는 주장은 피해망상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6]

5. 저서


  • 석주유고: 이상룡의 아들 이준형이 정리하여 필사하였고, 안동문화연구소에서 국역하여 출간하였다.

6. 가계

고성 본관으로, 경상도 안동의 유림 명문가에서 3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생가인 임청각은 왕의 궁궐이 아닌 사대부 반가로는 가장 크게 지을 수 있는 99칸 짜리 집으로 유명하며, 보물 제182호로 지정되어 있는 고택이다.[7][8]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증조부이찬(李璨)1798년1887년
증조모전주 이씨이중민(李中敏)의 딸
조부이종태(李鍾泰)1820년1894년
조모의성 김씨김진화(金鎭華)의 딸
부친이승목(李承穆)1837년1873년
모친안동 권씨권진하(權夏)의 딸
아우이상동1865년1951년
조카이형국1883년1931년
조카이운형1892년1972년
조카이제형(李齊衡)1898년1986년
아우이봉희1868년1937년
조카이광민1895년1945년
조카이광국1903년?
당숙이승화1876년1927년
배우자김우락(金宇洛)1854년1934년김진린(金鎭麟)의 딸
아들이준형1875년1942년
손자이병화1906년1952년
손녀류시준(柳時俊)에게 시집감
손녀조병원(曺炳元)에게 시집감
손녀허국(許國)에게 시집감
강호석(姜好錫)에게 시집감


참조

[1] 서적 Korea Old and New: A History Ilchokak / Korea Institute, Harvard University 1990
[2] 웹사이트 스카이데일리, 고대성인 노자(老子) 혈통, 빌딩 3채 수백억 재력 https://www.skyedail[...] 2022-11-15
[3] 간행물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Nationalist History
[4] 뉴스 大韓民国ノブレス・オブリージュの象徴、臨清閣を復元へ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7-08-20
[5] 뉴스 鉄道は「日帝の残滓」韓国で進む大改修、文氏に異論も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0-01-27
[6] 뉴스 일제는 고의로 임청각을 훼손했나? http://pub.chosun.co[...] 週刊朝鮮 2017-08-31
[7] 블로그 임청각, 항일운동의 정신이 담긴 석주 이상룡선생의 생가 http://blog.ohmynews[...] 이 땅에서 잘 놀기 블로그, 오마이뉴스 2006-08-17
[8] 뉴스 내 아내와 자식을 왜놈 종이 되게 할 수 없다 -석주 이상룡(Ⅰ) http://life.ohmynews[...] 오마이뉴스 2003-06-23
[9] 웹사이트 임청각의 인물 http://imcheonggak.c[...] 임청각 홈페이지
[10] 뉴스 언 땅에 조국해방 씨앗 뿌린 선각자 - 임정 초대 국무령 석주 이상룡 선생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3-03-01
[1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8-11-01
[12] 웹인용 국립현충원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https://web.archive.[...] 2009-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